맨위로가기

기저 (선형대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저는 체 K 위의 벡터 공간 V에서 선형 독립이면서 V를 생성하는 부분집합 B이다. 기저는 벡터를 유일하게 표현하는 좌표를 제공하며, 유한 기저를 갖는 벡터 공간은 유한 차원, 그렇지 않은 경우는 무한 차원이라고 한다. 모든 벡터는 기저의 선형 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되며, 기저 벡터의 순서를 고려한 순서 기저는 좌표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기저 확장 정리에 따르면, 선형 독립인 부분 집합 S는 V의 기저로 확장될 수 있으며, 생성계 T는 기저 B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정규기저, 직교기저, 정규직교기저 등 기저의 종류가 있으며, 순서 기저를 통해 좌표를 구성하고 기저 변환 행렬을 사용하여 좌표를 변환할 수 있다. 하멜 기저와 같은 다른 기저 개념도 존재하며, 아핀 기저, 사영 기저, 볼록 기저, 원뿔 기저와 같은 관련 개념도 정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택 공리 - 초른 보조정리
    초른 보조정리는 공집합이 아니고 모든 사슬이 상계를 갖는 부분 순서 집합에서 적어도 하나의 극대 원소가 존재함을 보장하는 정리이다.
  • 선택 공리 - 곱집합
    곱집합은 주어진 집합들의 원소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만든 순서쌍 또는 튜플들의 집합이며, 집합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순서쌍, 선택 공리, 함수 및 관계 정의의 기초가 되고, 기수의 곱과 거듭제곱을 정의하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을 가진다.
  • 매트로이드 이론 - 매트로이드 마이너
    매트로이드 마이너는 매트로이드에서 부분집합 제거 또는 제한 연산을 반복하여 얻어지는 매트로이드로, 매트로이드의 성질 보존, 구조 분석, 그래프 이론과의 연결, 여러 종류의 매트로이드, 구조 파악 및 복잡성 분석, 효율적인 테스트 알고리즘 개발 등에 활용된다.
  • 매트로이드 이론 - 탐욕 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은 각 단계에서 가장 좋아 보이는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 설계 패러다임으로, 최적 부분 구조와 탐욕 선택 속성을 가진 문제에 최적의 해를 보장하며, 다익스트라, 프림, 크루스칼 알고리즘 등에 사용된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기저 (선형대수학)
정의
대상벡터 공간
유형선형 독립 집합
속성생성
유한한 선형 결합
추가 정보
관련 개념좌표계
차원
직교 기저
일반화힐베르트 공간의 샤우더 기저

2. 정의

K 위의 벡터 공간 V의 '''기저'''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V의 부분집합 B이다.


  • (선형독립) 임의의 c_1,\ldots,c_n\in Kb_1,\ldots,b_n\in B에 대하여, 만약 c_1b_1+\cdots+c_nb_n=0이면, c_1=\cdots=c_n=0이다.
  • (선형생성) 임의의 벡터 v\in V는, 어떤 c_1,\ldots,c_n\in Kb_1,\ldots,b_n\in B를 써서 v=c_1b_1+\cdots+c_nb_n와 같이 표현된다.


샤우데르 기저와 구별하기 위해, '''하멜 기저'''(Hamel basis영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10]

스칼라 a_i는 기저 B에 대한 벡터 v의 좌표라고 하며, 선형독립 성질에 의해 고유하게 결정된다.[10]

유한 집합 기저를 갖는 벡터 공간을 유한 차원이라고 한다.

방향을 논의하거나, 기저 요소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기저에 대한 벡터의 스칼라 계수를 고려할 때 기저 벡터에 대한 전순서를 갖는 것이 종종 편리하거나 심지어 필요하다. 이 경우, 각 계수를 해당 기저 요소에 연결하려면 순서가 필요하다. 이 순서는 기저 요소를 번호 매기기로 수행할 수 있다. 순서를 선택했음을 강조하기 위해 '''순서 기저'''에 대해 말하며, 이는 단순한 비구조적 집합이 아니라 수열, 인덱싱된 족 등과 유사하다.

모든 선형 공간은 그것을 생성할 수 있는 선형 독립인 벡터 집합을 하나 이상 가진다. 다시 말해, 선형 결합으로 공간의 모든 벡터를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는 벡터 집합이 항상 존재한다. 그리고 그 벡터들의 개수는 각 선형 공간에서 유일하게 정해진다. 즉, 모든 선형 공간은 "좌표계"와 같은 상수 개수의 기본 요소의 선형 결합으로 반드시 표현할 수 있다.[11] 이처럼 선형 공간을 특징짓는, 선형 독립인 생성계를 '''기저'''라고 부른다.

기저 벡터를 특정 "순서"로 나열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가 종종 있다(예를 들어, 선형 사상의 기저에 관한 변환 행렬을 생각하는 경우 등). 그래서 기저를 ''V''를 생성하는 선형 독립인 벡터의 집합으로 생각하는 대신 열(또는 ''n''-조)로 본, '''순서 기저''' (''ordered basis'')가 종종 사용된다(줄여서 "순서 기저" 또는 "순서 있는 기저"등이라고도 한다).

3. 성질

모든 벡터 공간은 기저를 가진다(기저 존재 정리). 한 벡터 공간의 모든 기저는 같은 수의 원소를 가지며, 이 원소의 수를 벡터 공간의 차원이라고 한다. 벡터 공간의 부분집합 B가 기저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 중 하나와 동치이다.


  • B는 V의 극소 생성계이다. 즉, B는 V의 생성계이며, B에 포함되는 어떤 부분집합도 V를 생성하지 않는다.
  • B는 V의 벡터로 이루어진 극대 선형독립계이다. 즉, B는 선형 독립계이며, B를 포함하는 V의 어떤 부분집합도 선형 독립계가 아니다.
  • V에 속하는 어떤 벡터도, B에 속하는 벡터의 선형결합으로 단 한 가지 방법으로 표현된다.

4. 기저의 종류

유클리드 공간 \R^n에서 n개의 단위 벡터 (1,0,...,0), (0,1,...,0), ..., (0,0,...,1)로 구성된 기저를 '''표준 기저'''라고 한다.[3] 예를 들어, \R^2의 표준 기저는 (1,0), (0,1)이다.

내적공간에서 서로 직교하며(두 벡터의 내적이 0) 크기가 1인 벡터들로 구성된 기저를 '''정규직교기저'''라고 한다. \mathbb{R}^{n}의 표준 기저는 정규직교기저의 한 예이다.

'''R'''2의 표준 기저. 파란색과 주황색 벡터는 기저의 원소이고, 녹색 벡터는 기저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다항식 환에서 단항식들(1, x, x^2, ...)로 구성된 기저를 '''단항식 기저'''라고 한다. 예를 들어, 실수 계수 다항식 전체의 선형 공간 '''R'''[x]의 기저는 (1, x, x^2, …)이다.

일반적으로 벡터 공간의 기저는 유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1,0), (1,1) 역시 \R^2의 기저이다.

(V,\|\cdot\|)순서체 K 위의 노름 공간일 때, 모든 b\in B에 대하여 \|b\|=1를 만족시키는 V의 기저 B를 '''정규기저'''라고 한다.

(V,\langle\cdot,\cdot\rangle)순서체 K 위의 내적공간일 때, 모든 b,b'\in B에 대하여, 만약 b\ne b'이라면 \langle b,b'\rangle=0를 만족시키는 V의 기저 B를 '''직교기저'''라고 한다.

5. 좌표

벡터 공간 V의 순서 기저 B = {b₁, ..., bₙ}가 주어졌을 때, V의 임의의 벡터 v는 v = c₁b₁ + ... + cₙbₙ으로 유일하게 표현된다.[10] 이때 스칼라 c₁, ..., cₙ을 벡터 v의 기저 B에 대한 좌표라고 한다. 순서 기저가 주어지면, 벡터 공간의 벡터는 그 좌표와 일대일 대응된다.

유클리드 공간에서 점과 그 좌표가 일대일 대응하는 것과 비슷하게, 일반 벡터 공간에서 주어진 기저에 따라 '''좌표'''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일반 벡터 공간에서도 순서를 추가한 기저, 즉 '''순서기저'''가 필요하다.

벡터 공간 V의 '''순서기저'''는 전순서를 갖춘, V의 기저이다. 유한차원 벡터 공간의 경우, 기저에 자연수 첨수를 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유한차원 벡터 공간 V 및 그 순서기저 B=\{b_1,\ldots,b_n\}이 주어졌다고 하면, 벡터 v\in V의 기저 B에 대한 '''좌표'''는 v=c_1b_1+\cdots+c_nb_n을 만족하는 스칼라의 튜플

:(v)_B=(c_1,\ldots,c_n)

이다.

이에 따라, 벡터 공간의 순서기저가 주어졌을 때, 벡터는 그 좌표와 일대일 대응한다. 예를 들어 3 \mathbf b_1 + 2 \mathbf b_22 \mathbf b_1 + 3 \mathbf b_2는 동일한 계수 집합을 가지지만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F^n을 체 F의 원소의 n-튜플의 집합이라고 하면, 이 집합은 성분별로 정의된 덧셈과 스칼라 곱셈을 갖는 F-벡터 공간이다. F^nV의 좌표 공간이며, n-튜플\varphi^{-1}(\mathbf v)\mathbf v의 좌표 벡터이다.

6. 기저의 변환

위의 차원 벡터 공간 가 주어졌다고 하자. 에 두 (순서) 기저 B_\text{old} = (\mathbf v_1, \ldots, \mathbf v_n)B_\text{new} = (\mathbf w_1, \ldots, \mathbf w_n)이 주어지면, B_\mathrm{old}에 대한 벡터 의 좌표를 B_\mathrm{new}에 대한 좌표로 표현하는 것이 유용할 때가 많다. 이것은 아래에 설명된 '기저 변환 공식'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아래첨자 "old"와 "new"는 B_\mathrm{old}B_\mathrm{new}를 각각 '옛 기저'와 '새 기저'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일반적으로 옛 좌표를 포함하는 수식이 주어지고, 새 좌표로 동등한 수식을 얻고 싶을 때, 옛 좌표를 새 좌표로 표현한 것으로 대체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새 좌표로 표현하는 것이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새 기저 벡터는 옛 기저에 대한 좌표로 주어진다. 즉,

:\mathbf w_j = \sum_{i=1}^n a_{i,j} \mathbf v_i.

(x_1, \ldots, x_n)(y_1, \ldots, y_n)이 각각 옛 기저와 새 기저에 대한 벡터 의 좌표라면, 기저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x_i = \sum_{j=1}^n a_{i,j}y_j,

(에 대해)

이 공식은 행렬 표기법으로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를 의 행렬이라고 하고,

:X= \begin{bmatrix} x_1 \\ \vdots \\ x_n \end{bmatrix} \quad \text{and} \quad Y = \begin{bmatrix} y_1 \\ \vdots \\ y_n \end{bmatrix}

를 각각 옛 기저와 새 기저에서 의 좌표의 열 벡터라고 하면, 좌표를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X = A Y.

이 공식은 두 기저에 대한 벡터 의 분해를 고려하여 증명할 수 있다. 다음이 성립한다.

:\mathbf x = \sum_{i=1}^n x_i \mathbf v_i,

그리고

:\mathbf x =\sum_{j=1}^n y_j \mathbf w_j

= \sum_{j=1}^n y_j\sum_{i=1}^n a_{i,j}\mathbf v_i

= \sum_{i=1}^n \biggl(\sum_{j=1}^n a_{i,j}y_j\biggr)\mathbf v_i.

기저 변환 공식은 기저, 여기서는 에 대한 벡터의 분해의 유일성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온다. 즉,

:x_i = \sum_{j=1}^n a_{i,j} y_j,

(에 대해)

7. 기저의 확장

슈타이니츠 교환 보조정리에 따르면, 유한 벡터 공간 V의 선형 독립 부분 집합 S에 대해, V의 기저 $S_{+n} = S \cup \{ \boldsymbol{v}_1, ..., \boldsymbol{v}_n \in \overline{\operatorname{span}(S)} \} \subset V$가 항상 존재한다.[12] 이를 기저 확장 정리라고 하며, "S를 기저로 확장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개략) 선형 독립인 $S \subset V$가 생성하는 부분 공간 $\operatorname{span}(S)$에 대해, 그 여집합 $\overline{\operatorname{span}(S)}$의 임의의 원소 $\boldsymbol{v_1}$는 S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13] $S_{+1} = S \cup \{ \boldsymbol{v}_1 \}$도 또한 선형 독립이 된다.[14] 마찬가지로 $\overline{\operatorname{span}(S_{+k})}$의 원소를 더하여 $S_$을 구성하고 이를 $\overline{\operatorname{span}(S_{+n})} = \varnothing$ 즉 $\operatorname{span}(S_{+n}) = V$가 될 때까지 유한 번[15] 반복하면, $S_{+n}$은 선형 독립이고 V의 생성계(기저)가 되어 정리가 증명된다.

이러한 기저는 거의 항상 여러 개 존재하며, 유일하게 결정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S가 이미 기저인 경우, S가 공집합인 경우, V가 두 원소 집합인 경우 등)

8. 관련 개념

가군은 로 대체하여 정의할 수 있다. 가군의 선형 독립과 생성 집합은 벡터 공간과 동일하게 정의되지만, "생성 집합"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가군의 ''기저''는 선형 독립이면서 생성 집합인 부분 집합이다. 모든 가군이 기저를 갖는 것은 아니며, 기저를 갖는 가군은 ''자유 가군''이라고 한다. 자유 가군은 자유 분해를 통해 비자유 가군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정수 위의 가군은 아벨 군과 같고, 정수 위 자유 가군은 자유 아벨 군이다. 자유 아벨 군은 다른 환 위 가군에서는 공유되지 않는 속성을 갖는다. 즉, 자유 아벨 군의 모든 부분군은 자유 아벨 군이다.

무한 차원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에서, 이 문서에서 정의된 기저는 '''하멜 기저'''(게오르크 하멜[2]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또는 '''대수적 기저'''라고도 불린다. 이는 힐베르트 공간정규 직교 기저, 샤우더 기저, 노름 선형 공간의 마르쿠셰비치 기저 등 추가 구조가 부여된 무한 차원 벡터 공간의 다른 "기저" 개념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개념들은 기저 벡터의 무한 선형 결합으로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는 무한 합이 의미 있게 정의되어야 함을 요구하며, 힐베르트 공간, 바나흐 공간, 프레셰 공간위상 벡터 공간에서 가능하다.

푸리에 급수 연구에서, 함수 ''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int_0^{2\pi} \left|f(x)\right|^2\,dx < \infty.

그러나 많은[3] 제곱 적분 가능 함수는 이 기저 함수의 ''유한한''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없어 Hamel 기저를 구성하지 않는다.

아핀 공간, 사영 공간, 볼록 집합, 원뿔은 관련된 ''기저'' 개념을 갖는다.[4] ''n''차원 아핀 공간의 '''아핀 기저'''는 일반 선형 위치에 있는 n+1개의 점이다. '''사영 기저'''는 ''n''차원 사영 공간에서 일반 위치에 있는 n+2개의 점이다. 다면체의 '''볼록 기저'''는 볼록 껍질의 꼭짓점 집합이다. '''원뿔 기저'''[5]는 다각형 원뿔의 각 모서리마다 한 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힐베르트 기저 (선형 계획법)도 참고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Finite-Dimensional Vector Spa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 논문
[3] 문서
[4] 서적 Notes on Geome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5] 간행물 Some remarks about additive functions on cones
[6] 간행물 Stochastic choice of basis functions in adaptive function approximation and the functional-link net
[7] 간행물 Approximation with Random Bases: Pro et Contra
[8] 간행물 Proportional concentration phenomena of the sphere http://www.tau.ac.il[...]
[9] 논문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논문
[23] 웹사이트 http://www.scielo.cl[...]
[24] 문서
[25] 문서
[26] 서적 Linear algebra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